반응형

 

책 읽기전에 제목만 봤을 때 '시선'이라는 것이 무언가를 바라보는 것이라는 의미의 '시선'인 줄 알았는데

사람 이름이었다.

'심시선'이라는 할머니의 삶을 돌아보며 자녀들과 손주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풀어감.

남들과는 조금 다른 할머니 '심시선'의 처음이자 마지막 제사를 위해 하와이에서 각자 할머니를 위해 제사상에 올리고픈 무언가를 찾아나선다. 그 무언가를 찾아나서면서 각자 인물들의 대략적인 이야기들이 나오는데, 무언가를 찾는 과정에서 인물들의 이야기와 생각을 알게된다. 여러가지 삶의 양상들을 볼 수 있음!

중심이 되는 심시선 할머니와 그의 딸들, 그리고 손녀들의 여성서사가 주를 이루었다는 점이 좋았음!

소설에서 심시선은 죽은 인물이지만 그의 작품이 계속 소개되고, 자손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계속 회고되곤 해서 꼭 죽은 인물같지 않게 느껴졌음. ㅎㅎ 

기승전결이 있는 이야기라기 보다는 한 일가 인물들의 여러가지 이야기..라고 볼 수 있겠는데

작가의 말을 빌리자면 이렇다.

'혹독한 지난 세기를 누볐던 여성 예술가가 죽지 않고 끈질기게 살아남아 일가를 이루었다면 어땠을지 상상해보고 싶었다.'

 

그렇게 재밌진 않았지만 읽고 나니 좋은 여운이 남는 소설이었음!

 

--

 

아무리 똑똑해서 날고 긴다 해도, 다정하고 사려 깊은 성품을 타고났다 해도 우리가 보는 것을 못 봐요.
한 사람에게 모든 것을 구하면 실패할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인생에 간절히 필요로 하는 모든 요소를 한 사람이 가지고 있을 확률은 아주 낮지 않을까요?

사랑하는 마음과 깊이있는 대화는 공존할 수 없다고 믿는 심시선의 말이었음. 곰곰히 생각해보게 된다. 한 사람에게서 너무 많은 것을 기대하면 실패할 수 밖에 없다..

 

 

야생에서라면 도태되었을 무른 사람들이었기에 그들을 사랑했다. 그 무름을. 순정함을. 슬픔을. 유약함을.

 

 

"쓰는게 뭐 대단한 것 같지? 
그건 웬만큼 뻔뻔한 인간이면 다 할 수 있어. 
뻔뻔한 것들이 세상에 잔뜩 내놓은 허섭스레기들 사이에서 길을 찾고 진짜 읽을 만한 걸 찾아내는 게 더 어려운거야"

요새 서점에서 에세이 코너를 보며 많이 드는 생각. 작가도 이런 현상이 맘에 안 들었던 것일까 아니면 단순히 현상에 대한 고찰인걸까 

 

 

가해와 피해의 스펙트럼에서 스스로가 가해에 더 가까웠음을 인정해야 했다. 멍청하고 멍하게 방조하고 있었음을 말이다.

방관은 가해의 일종이다. 가해에 대한 침묵은 가해에 대한 소극적인 동의라고 생각함

 

 

 

"구구절절 설명이 따라붙지 않게 딱 정의된 개념들을 아는 것과 모르는 건 시작선이 다르잖아"

정의된 개념들을 배우는 건 시작선을 앞당기기 위해서가 아닐까~하는 생각

 

 

 

할머니는 욕도 표현의 일종이라고, 다만 정확하고 폭발력 있게 욕을 써야 한다고 말했었다.

 

 

 

어른들은 기대보다 현저히 모르고, 알고 싶어하지도 않는다.

 

 

 

실망스러워도 실망하지 말아야지 다짐했다. 
무지개를 찾아주고 싶어하는 무지개 섬 사람의 마음을 다치게 하지 말아야지, 하고 말이다.

 

 

 

"요즘 여자들이 아이를 낳지 않는 걸 모조리 경제적인 이유로 설명할 수는 없어요. 
 공기가 따가워서 낳지 못하는 거야.
 자기가 당했던 일을 자기 자식이 당하는 걸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견딜 수가 없어서.
 혼자서는 지켜줄 수 없다는 걸 아니까. 
 한국은 공기가 따가워요."

요즘 우리 사회는 너무 예민하고 날이 서있다고 생각했는데, 그걸 공기가 따갑다고 표현했다. 공감이 많이 된 표현.

반응형
반응형

 

 

SF인줄 알았는데 로맨스였음

로맨스 취향은 아닌데 재미있었음

우주에서 온 사랑꾼과 한아의 이야기...?라고 할 수 있는데...

너무 절절하거나 지나치게 정교하지 않아서 더 좋은 소설이었다

SF가 가미된 로맨스지만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임 ㅎㅎ  

예전의 경민이가 사라지고 우주를 건너온 경민이와의 관계는 너무나도 보편적이고 뻔한 흐름이지만

뻔할 수 있었던 흐름을 SF 소재를 넣어서 참신하고 지루하지 않았다. 

뭐 크게 우여곡절이나 갈등을 겪는 건 아니어서 스토리가 스펙타클하다는 느낌은 없음에도 

표현이 예쁜 구절들이 참 많아서 읽는 재미가 있었고 

왜 지금 이 소설을 읽게된걸까~ 하는 생각도 듦.

ㅎㅎ 내 삶의 경민이들을 생각나게 하는 소설.

가볍게 읽기 좋음

 

아래는 내가 맘에 든 구절

--

--

사람들은 왜 너 자신에 집중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 사느냐고 묻는다. 끝내는 아무것도 남지 않고, 아무도 고마워하지 않을 거라고. 하지만 그런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건전한 절대 명제. '누구나 하나의 세계를 이룰 수 있다' 는 역사상 가장 오래 되풀이된 거짓말 중 하나일 거라고 생각했다. 세계를 만들 수 없는 사람도 있다. 아니, 대부분의 사람들은 탁월하고 독창적인 사람들이 만든 세계에 기생할 수 밖에 없다. 끊임없이 공자와 소크라테스의 세계에, 예수와 부처의 세계에, 셰익스피어와 세르반테스의 세계에, 테슬라와 에디슨의 세계에, 애덤 스미스와 마르크스의 세계에, 비틀스와 퀸의 세계에, 빌게이츠와 스티브 잡스의 세계에 포함되고 포함되고 또 포함되어 철저히 벤다이어그램의 중심이 되어가면서 말이다.  

--

--

어차피 다른 이의 세계에 무력하게 휩쓸리고 포함당하며 살아가야 한다면, 차라리 아폴로의 그 다시없이 아름다운 세계에 뛰어들어 살겠다. 그 세계만이 의지로 선택한 유일한 세계가 되도록 하겠다...

--

--

한아는 오랫동안 봐온 그 등에서 익숙함을 찾으려 노력했다. 저 등은 언제나 가슴을 아프게 했었다. 한아를 아프게 하려고 빚어놓은 실루엣 같았다. 툭 튀어나온 양 어깨뼈 사이, 깊고 우묵한 곳에 이마를 대고 싶어졌더랬다. 하지만 언제나 점점 멀어져 잰걸음으로 쫓느라 한아는 울 시간도 없었다.

--

--

너를 직접 만나려고 2만 광년을 왔어. 내 별과 모두와 모든 것과 자유 여행권을 버리고. 

--

--

턱에 맺혀 있는 눈물을 닦아주려 했을 때는 막지 않았다. 경민의 손보다 온도가 높고, 굳은살이 없는 손이었다. 쌓인 기억이 없는 손이었다.

--

--

"다시 여행하고 싶지는 않아? 공항에 오니까 여행 싫어하는 나도 막 그런 기분이 드는데."

"네가 내 여행이잖아. 잊지 마."

--

--

친구들은 원래의 경민처럼 경쾌하고 단순한 종자들로, 서로 아끼지 않는 것은 아니었으나 일대일의 관계라기보다는 대개 여럿이 왁자지껄 떠들며 폭음하다가 아침에 흉한 몰골로 일어나서 서로 옷을 바꿔 입고, 혹은 신발을 바꿔 신고 가버리는 이들이었으니 변화를 섬세하게 포착할 능력이 없었다.

--

--

경민은 한아만큼 한아의 신념을 사랑했다. 한아의 안에도 빛나는 암석이 있는 것이나 다름없다고 말이다.

--

--

마음속에서 잘 정돈했다고 생각했던 감정들이, 정돈된 게 아니라 그저 갇혀있다가 튀어나와버렸단 걸 깨달았기 때문이다.

지금은 아니지. 이제 와서 돌아오는 건 정말아니지.

--

--

한아는 마땅한 동사나 형용사를 찾지 못했다. 언제나 너야. 널 만나기 전에도 너였어. 자연스레 전이된 마음이라도 생각해왔었는데, 틀렸어. 이건 아주 온전하고 새롭고 다른 거야. 그러니까 너야. 앞으로도 영원히 너일거야.

--

--

"좋아 보여. 네 옆에 있는 사람이 한때 내 이름이었던 이름을 쓰는거. 네가 그 이름에서 날 발견하지 않는다 해도."

--

--

"돌아올 거라고 믿었는데 그걸 믿는 날 믿을 수가 없었어. 믿으면서도 전혀 믿을 수가 없었어."

--

--

심장이 마지막 걸음을 할 때, 경민이 속삭였다. 

다시, 다시, 다시 태어나줘. 

 

 

약간 인소감성이 없잖아 있는데 그래서 더 감성적인것 같기도 하고.. 암튼 그렇슴 ㅋ_ㅋ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