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push [remote 이름]
예시
$ git push mytest
fatal: The current branch main has no upstream branch.
To push the current branch and set the remote as upstream, use
git push --set-upstream mt main
$ git push -u project master
To http://00.000.0.000:8090/project.git
! [rejected] master -> master (non-fast-forward)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http://00.000.0.000:8090/project.git'
hint: Updates were rejected because the tip of your current branch is behind
hint: its remote counterpart. Integrate the remote changes (e.g.
hint: 'git pull ...') before pushing again.
hint: See the 'Note about fast-forwards' in 'git push --help' for details.
원격 분기의 변경 내용을 로컬로 변경한 내용과 페치하고 병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 git fetch origin
# Fetches updates made to an online repository
$ git merge origin YOUR_BRANCH_NAME
# Merges updates made online with your local work
또는 두 명령을 한 번에 모두 수행하는 데만 git pull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git pull origin YOUR_BRANCH_NAME
# Grabs online updates and merges them with your local work
git reset : HEAD의 포인터를 특정 위치로 옮기는 명령어 --hard 옵션 : 이전 커밋으로 돌아가기. 그 커밋 이후에 내용들은 삭제됨. --mixed 옵션 : 커밋을 이동함. 변경 이력이 모두 삭제되지만 스테이지에 코드가 남아있음. 이 코드를 add 후 커밋하면 됨. --soft 옵션 : mixed 옵션과 같지만 이미 스테이징 되어있음. 이 말은, add 없이 바로 커밋하면 된다~~
데이터1 ) ID와 데이터가 있는 data.CSV데이터2 ) ID와 NAME이 있는 model.CSV
1. 파일 읽어들이기
###### 첫 번째 파일 읽기 ######
setwd("C:/Users/USER/Desktop")
tsv <-fread("data.csv")
###### 두 번째 파일 읽기 ######
setwd("C:/Users/USER/Desktop")
NAME <-fread("model.csv")
2. 두 데이터 합치기 merge
MergeTsv <- merge(tsv,NAME,by="ID",all=FALSE)
all 옵션 :
all=TRUE 일때는 합집합(좌)
all=FALSE 일때는 교집합(우)
3. 데이터 타입 변환
MergeTsv$DATA <- as.numeric(MergeTsv$DATA)
############### POSIX 타입으로 변환하는 경우####################
MergeTsv$REG_DATE <- as.POSIXct(MergeTsv$REG_DATE,format="%H:%M:%S")
############### %H:%M 처럼 변환 형태를 지정하는 경우 format 이용####################
############### format을 이용하면 CHAR 타입으로 변환이 된다....####################
MergeTsv$REG_DATE<-format(as.POSIXct(MergeTsv$REG_DATE,format = "%H:%M:%S"),"%H:%M")
4. ggplot 이용하여 꺾은선 그래프 그리기
//x=축 데이터, y=y축 데이터, colour, group = 구분 기준
ggplot(MergeTsv,aes(x=REG_DATE,y=DATA, colour=DAY,group=DAY))+
//facet_wrap=plot이 만들어지는 단위 기준
geom_line()+facet_wrap(~NAME,ncol = 1, scales="free")+
coord_cartesian(ylim=c(1,150))+
scale_x_discrete(breaks= c("03:00","06:00","09:00","12:00","15:00","18:00","21:00"))
- group : 한 장비의 yesterday, today 별로 그래프를 그리고 싶어서 group을 주었음
- facet_wrap : 장비 NAME 별로 그래프를 따로 그리기 위해 facet_wrap 사용
for /f"tokens=5 delims="%aIN ('netstat -ano ^| findstr 8080') do set result=%a
tokens : 결과에서 몇 번째를 저장할 지 설정
delims : 구분자
"tokens=5 delims= " : 공백을 구분자로 다섯번째 문자열을 선택(3148)
%a : 임시로 쓸 변수
result : 명령어 저장할 변수
in ( ) : 실행할 명령어를 넣는다.
do() : 앞의 명령어 실행 후 실행할 내용
* 명령어에 ' | ' 나 ' ( ' 같은 특문이 있으면 앞에 ^를 붙일 것
* 변수 세팅시 ( set 변수=%a) 공백 없도록
* batch파일에 적을 때에는 %a에 %를 하나 더 붙인다
cmd에 실행한 예시
netstat 결과가 두줄이라 그런지... set result가 두 번 실행됨..
C:\Users\heirr>for /f "tokens=5 delims= " %a IN ('netstat -ano ^| findstr 8080') do set result=%a
C:\Users\heirr>set result=3148
C:\Users\heirr>set result=3148
C:\Users\heirr>echo %result%
3148
반응형
batch 파일 내용(test.bat)
//batch 파일을 관리자로 실행하기 위해 넣었음
if not "%1"=="am_admin" (powershell start -verb runas '%0' am_admin & exit /b)
cd ../
for /f "tokens=5 delims= " %%a IN ('netstat -ano ^| findstr 8080') do set result=%%a
//result 변수를 taskkill 명령어에 사용
taskkill /f /pid %result%
//batch 파일로 실행한 cmd가 자동종료되지 않게 하기 위함
cmd /k